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상식

올바른 ETF 투자법

by 도영123 2020. 5. 19.
반응형

 

하나의 투자 주류 문화로 자리잡은 ETF

우선 etf란 일반적으로 시장 주가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데요,

 

기본적으로 이 '주가 지수'에 대한 개념이 없다면 etf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습니다.

 

관련 설명이 필요하신분은 아래 개념을 필독해주세요 !

kimdoyoung55.tistory.com/3

 

코스피 코스닥 차이 (주가지수란)

"금일 코스피 지수가 1900이 붕괴됐습니다" "코스피가 7%이상 하락하여 장중 서킷브레이커가 발동..." 주식 투자를 하기위해 이것저것 정보를 찾다보면 고급스러워 보이면서도 비슷해보이는 당췌

kimdoyoung55.tistory.com

 

 

 

왕도란 없다. 결국 꾸준히, 오래 기다리는 장기 투자만이 답이다..

 

이 전의 게시물들에서도 말했듯, 시장은 호황기와 횡보기를 반복하지만

 

30년 이상의 거시적인 시각에서 차트를 보면, 틀림없이 우상향하는 경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개별주와는 달리 시장지수의 낙폭과 저점은 그 정도가 어느정도 정해져 있죠

 

단기간의 엄청난 상승폭은 없지만, 보수적이고 조용하게 안전하게 시장의 규모를 따라간다는 점에서

 

시장 주가 지수 추종 etf 들은 매우 매력적입니다.

 

 

 

 

*그렇다면 etf를 활용하여 보수적으로 장기 투자하려면 어떻게 투자해야할까요?

 

 

 

1. 자신에게 맞는 ETF 상품을 선택한다. (이 때 반드시 한 국가 또는 시장 전체를 추종하는 특성을 가진 ETF여야함.)

 

간혹보면 etf상품 중 '삼성그룹etf', '반도체 업종etf'와 같이 단순히 개별주를 모아둔거나 다름없는 상품들이 많은데요,

 

이는 이 글에서 말한 '시장지수에 투자하는' 성격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반드시 시장 전체의 규모를 추종하는 etf상품이어야만

 

시간과 함께 그 규모가 비례한다는 원칙에 기대어 맘놓고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보면 한국증시도 세계증시 전체의 2%정도밖에 안되기때문에 주식시장 전체의 규모 상승을 대표한다고 볼 수는 없지만, 개선되어가고 있는 증시 투명성과 세계 10~15위권 경제 선진국 반열에 올랐기 때문에,

 

자본주의 원리에 따라 어느정도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시장이 되어간다고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나에게 들어오는 수입의 일정부분 (반드시 없어도 되는 돈으로!!. 매달 월급의 10%, 부수익의 20%....) 으로 매달 매수한다

 

주식으로 망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의 원인은, 당장 써야 할 현금을 투자로 올인했기 때문입니다.

내가 당장 내년에,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줘야되는데.... 좋은투자처가있다는 말에 혹하여

 

내 돈이 아닌 돈, 곧 나가야 할 돈을 투자금으로 쓰는 것이죠.

 

투자는 항상 당장 없어도 되는 여유자금으로 해야합니다.

 

변동성으로 인해 주가가 저점에 있는데, 갑자기 급히 현금을 마련해야 될 일이 생겼다면??

 

당연히 -20% -30% 손절매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 오는 것이죠.

 

당장 뺄 일이 없는 큰돈이라고 하더라도, 지나고 보니 내가 산 가격이 고점이었다는 것을 알게된다면

 

한 동안, 길게는 몇 년 간 잠 못드는 밤이 많아질 겁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분할매수를 하여 평균 매수단가를 낮추는 전략이 많이 사용되는데요

 

이를 위해서라도 매달 일정 금액을 가격에 상관없이 매수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장기적으로 지수추종 etf를 분할매수했더라면 보통 손해보는 구간에 오래머무는 일은 거의 없는데요

 

실제 주가지수 차트의 120일, 120주 이동평균선을 보면 일반적으로 항상 지수보다 아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시간은 당신의 편 !! 팔지않고 30~40년 꾸준히 매수하여 보유한다.

 

일부 투자자들은 장기투자를 할 목적으로 특정 종목을 '2년' 정도 갖고있겠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투자의 관점에서는 10년도 장기간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차트가 말해주듯이, 자본시장 규모확장과 함께 내 자산이 증식되는 효과를 누릴 목적으로 투자하는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최소 30~40년 정도의 기간을 투자해야합니다. (제 블로그의 다른 글을 참고하여 시장지수 장기간 차트를 확인하세요)

 

첫 해는 분배금이 적금수익률정도이겠지만, 시간과 함께 주가 지수가 상승한다면

 

etf 한주 가격 상승과 별개로 매년 받는 분배금도 오르니, 노후를 위해 투자하는 마음으로 기다려봅시다.

 

 

 

단기적으로는 상승도,하락도 하지않는 횡보기에 머무를수도있습니다.

이를 '박스권 증시'라고도 하는데요

우리나라뿐만아니라 미국주식시장도 10년주기로 마찬가지의 박스권 기간이 찾아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해보세요

 

https://kimdoyoung55.tistory.com/7

 

'박스피' 가 뭘까? (미국도 박스권이 있었다) .jpg

주식을 처음 입문하신 분들이라면 심심찮게 들어보셨을텐데요 바로 '박스피' '박스닥' 과 같은 주식 용어 입니다. " 큰 맘 먹고 드디어 hts, mts깔았는데..... 국내 주식 좀 사보려고 했더니....." " 한

kimdoyoung55.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