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상식

주가지수는 어떻게 계산 산출?? (주가지수 산출 방법) .jpg

by 도영123 2020. 5. 14.
반응형

 

 

우선 주가지수가 뭔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주가지수에 대해 입문자 수준으로 설명한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kimdoyoung55.tistory.com/3

 

코스피 코스닥 차이 (주가지수란)

"금일 코스피 지수가 1900이 붕괴됐습니다" "코스피가 7%이상 하락하여 장중 서킷브레이커가 발동..." 주식 투자를 하기위해 이것저것 정보를 찾다보면 고급스러워 보이면서도 비슷해보이는 당췌

kimdoyoung55.tistory.com

각 나라의 주식시장에는 국가별로 수백,수천개의 주식회사가 상장되어 있습니다.

 

한 개인이 이를 하나하나 다 살펴보면서 그날 그날의 주식시장 상황을 평가하는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겠죠?

이를 위해, 보기쉽게 하나의 지표로서 나타낸 것이 바로 주가지수입니다.

 

 

그런데 코스피,코스닥과 같이 어떤 지수는 1000~2000대의 범위에 있는 반면

다우,니케이와 같이 어떤 지수들은 2만 3만을 넘나드는데요, 왜 이런 차이가 생기는 걸까요??

 

 

이번 글에선 그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 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본주의 시장의 우상향' 개념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 정말중요함 ㄷ ㄷ

 

 

일반적으로 주가지수를 산출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1.주가평균 방법 : 일반적으로 다우지수,닛케이지수가 이 방법으로 산출됩니다. 한 나라의 주식시장에서 업종 별로 대표기업 1개씩 추려서 그 기업들의 주가를 단순히 평균내는 방식을 말합니다. 소수 우량주들만을 모아서 산출하기 때문에 작은 기업들의 잦은 주식분할,사소한 이슈로 인한 주식 변동 효과를 최소화해서 표현하고 , 시장의 거시적이고 큼직큼직한 변동만을 표현해주기때문에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답니다.

 

2.시가총액 가중 방법: 모든 기업을 모아서 시가총액 비례 비율로 그 등락에 비중을 두어 나타낸 방식. 일반적으로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그 시점과의 변동배율에 따라서 등락 정도를 표현합니다. 시총 비례이긴 하지만 모든 기업의 등락이슈가 반영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등락의 파고가 크답니다.

 

 

 

 

 

우선 두 개의 산출방식에 따라 지수의 크기와 범위가 왜 차이나는지 먼저 설명해볼게요

 

다우지수는 2~3만 단위에서 논다!!

 

일단 다우존스식 지수 산출방법인 '주가평균 방법' 은

말 그대로 주가를 평균낸 것이기때문에 지수가 높을 수 밖에 없겠죠??

 

한 나라를 대표하는 전통있고 우량한 기업들의 주가를 평균낸 것인데, 

그런 기업들은 이미 엄청난 주가 상승의 히스토리가 있으니까요.

 

 

 

400~700의 비교적 낮은 범위에서 노는 코스닥 지수

하지만 시가총액 가중 방법을 채택하는 주가지수의 경우엔 말이 다릅니다.

 

코스피지수의 경우, 1980년 1월의 주식시장 크기를 100으로 기준으로 하는데요

코스피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이 10%오르면 이 코스피지수가  110이 되는거고 2배오르면 200이 됩니다.

 

특정 기준을 굳이 크게잡을 필요는 없으니 일반적으로 1,10,100으로 잡게되는거고,

일반적으로 20~40년을 놓고보면 10~30배정도 상승하기때문에 주가지수는 높아봐야 몇천단위인거죠.

 

 

실제 주가지수가 우상향하는 것에 대한 설명과 장기 차트는 아래 링크로 확인해보세요

kimdoyoung55.tistory.com/5

 

주가 지수, 시장 결국 '우상향'한다.( 차트로 보는 주가지수의 과거 현재 미래 )

주가지수란 ??? 주식시장 전반의 변동, 흐름을 '보기쉽게' 나타내기위해 인간이 만든 하나의 발명품으로서, 일반적으로 하나의 '숫자'로 표현됩니다. ex) 오늘은 코스피가 1970 이래... 몇년 전에 코

kimdoyoung55.tistory.com

 

 

 

 

하지만 두 산출 방법의 가장 큰 차이는 따로 있습니다.

 

바로, 지수가 시장 변동성을 대표하여 제대로 표현해줄 수 있느냐 하는것입니다.

 

주가평균 방식의 1번의 경우 앞서 말했듯 대표 우량주의 주가를 이용하여 산술 평균내기때문에

계산이 단순하고 직관적이지만, 동시에 몇개의 우량 기업만을 활용하기 때문에

시장 변동을 제대로 나타내줄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미국과같은 탄탄한 자본체계의 1등 우량주들은 시장 상황과 관계없이 안전할 뿐더러, 심지어 가끔은 시장이 위험할수록 1등주로 힘이 쏠리기도 하거든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시총비례 방식을 도입한 2번의 방법이 개발되었는데요, 모든 기업이 지수에 영향을 주지만 규모에 비례하여 영향을 주기 때문에 모든 변동을 적당한 수준에서 나타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가총액비례이다보니,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등락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밖에 없고, 이 때는 규모가 큰 1등기업의 등락폭을 따라가게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코스피200지수의 경우, 200개의 기업중 1등기업인 삼성전자의 비중이 40%가까이 되기 때문에,

시장이 좋아져도 삼성전자 내부이슈로인해 삼성전자가 하락하면 코스피200지수는 하락하게됩니다.

 

나머지 199개의 기업이 상승하니까 시장이 좋아졌다고 볼 수 있는데  이와 상관없이 코스피200지수는 떨어지게 되는거죠.

 

이를 해결하기위해 최대 비중을30%까지만으로 제한하는 라지캡비율제도를도입하기도하죠

 

만약 이때 주가평균방식을 활용했다면 어떘을까요??

나머지 상승한 기업의 주가가 올라갔으니 주가평균 산출 방식으로 산출된 지수는 올라갔을 겁니다.

 

이렇게 각기 장단점이 다 있고하지만, 현재는 일반적으로 2번의 방식을 이용하여 대부분의 주가지수가 산출됩니다.

 

 

 

실제 코스피차트와 관련etf인 kodex200의 40년 차트를 보면 알수있는데요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

kimdoyoung55.tistory.com/6

 

kodex200 (2600% 수익 코스피 지수 ETF).jpg

코스피 200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국가대표 ETF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코스피200은 코스피지수랑 거의 95% 일치 하기때문에 사실상 kodex200은 코스피 차트를 따라가는 ETF라고 봐도 무방합��

kimdoyoung55.tistory.com

 

 

 

 

 

지금까지 주가지수가 어떻게 산출되는지, 지수를 구성하는 기업 산정방법과 구체적인 산출 계산식에 대해

얕게나마 알아봤는데요,

 

누군가는 또 이렇게 말할 수 있겠죠

"주식투자는 그냥 주가지수, 시장지수 보면서사고 팔고하면 되지 이러한 수학적인 산출계산을 왜알아야돼??"

 

맞습니다. 알필요없어요. 하지만 이 산출 방식을 앎으로써 우리는 엄청난 경제적 직관을 얻게됩니다.

주가지수란 것은 결국, 기업의 시가총액 등락에 따라서만 결정된다는 것이에요.

 

그럼 자연스레 다음과 같은 궁금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망하는 기업이 생기면 그 자리는 빠지나?"

 

지수 산출을 위해 사용된 몇백개의 기업중에 망하는 기업도 생기고,

기존의 지수를 구성을 대표하는 기업보다 더 크고 우량하게 성장한 기업도 많이 나온답니다.

 

(*아래 링크는 어떤 유튜버 분께서 올려주신 영상인데 과거 몇십년간 우리나라 탑10기업의 시가총액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잘 설명해주네요. 심심하면 보세요 ㄷ ㄷ)

 

www.youtube.com/watch?v=qekYbnvTQAc

 

이렇게 코스피200만 봐도 과거 몇십년 동안 망한 기업이 수도없이 많았습니다. 그럼 그때마다 지수가 폭락할까요?

 

아닙니다!

 

 

망하는 기업은 알아서 빠진다 !!!

우리나라 정부기관 '주가지수운영위원회'에서는 매년, 분기별 코스피 구성 기업들이 튼튼한지, 망해가는 기업은 없는지를 확인하고 그 구성종목을 바꾸기도 한답니다. 미국의 S&P500 기업도 마찬가지에요!

 

어떤 기업이 망했다면 지수 산출에서 제외되고, 그 기업의 시가총액만큼 다른 건강한 기업이 들어오기때문에

일종의 바통터치가 끝없이 이뤄지는 셈입니다.

 

그리고 시가총액이 변동되는 만큼 1년에 한번씩 지수 산출에 영향을 주는 해당 기업의 비중을 조절합니다.

 

 

 

 

 

여기까지 주가지수산출 방법이라는 마이너한 개념을 통해 시장 지수가 어떻게 산출되고, 어떤 특성을 가졌는지 다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이러한 주가지수, 시장지수의 과거,현재,미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구체적인 코스피200의 기업 200개가 궁금하시면 아래글을 참고하세요!

https://kimdoyoung55.tistory.com/12

 

코스피200 구성 기업 200개 표 정리 최신 .jpg

우선 코스피라는 단어의 의미하는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 링크를 달아드리겠습니다! https://kimdoyoung55.tistory.com/3 코스피 코스닥 차이 (주가지수란) "금일 코스피 지수가 1900이 붕괴됐습니다" "

kimdoyoung55.tistory.com

 

반응형

댓글